백엔드 개발자를 꿈꾸며...

[Ubuntu] ssh의 정의와 이점, 우분투 ssh 설치 및 맥북에서 ssh 접속 본문

백엔드 공부/Ubuntu

[Ubuntu] ssh의 정의와 이점, 우분투 ssh 설치 및 맥북에서 ssh 접속

박현준(-ㅅ-) 2023. 1. 15. 00:48

ssh 설치 및 접속에 대해 알아보기 전 ssh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 것인가부터 시작하겠습니다.

ssh(Secure Shell)는 원격 컴퓨터에 대한 보안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. 원격 시스템에 로그인하고 명령을 실행하고 시스템 간에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. ssh는 서버 관리에 널리 사용됩니다.

 

ssh의 주요 이점 중 하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모든 트래픽을 암호화하여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연결을 도청 및 해킹하기 어렵게 한다는 것입니다.

 

즉 secure shell은 직역처럼 보안이 지켜지는 쉘(보통의 터미널 환경 등등...)입니다.

요즘 같은 IT시대에 보안은 필수니까요.


이제 본격적으로 ssh 설치부터 맥북 접속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$ sudo apt update
$ sudo apt install openssh-server

apt 업데이트 후 ssh server를 설치해 줍니다.

 

그 후 ssh를 설치하면 보통 자동으로 실행됩니다. 실행 확인은 아래 명령어로

$ sudo systemctl status ssh

그럼 active라고 나오는데 이렇게 보이면 실행 중인 상태입니다.

만약 실행 중이 아니라고 한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 그 후 ssh status 상태 명령어를 입력하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 

$ sudo systemctl enable ssh
$ sudo systemctl start ssh

 

그다음으로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으면 ssh를 허용해야 합니다.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어 비활성화되어있으면 무시해도 됩니다.

$ sudo ufw status
Status: inactive
$ sudo ufw allow ssh

여기까지 하면 ssh 설치와 설정이 완료됩니다. (참고로 여기까지 과정은 모두 우분투 환경입니다.)

 

이제 제 맥북에서 원격 ssh 접속을 해보겠습니다.

기본적으로 macOS는 UNIX 기반이라 ssh client & ssh server를 포함하고 있습니다.

 

맥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.

$ ssh [우분투(원격지서버)UserID]@[우분투(원격지서버)IP]

 

예로 우분투 아이디이가 JJuni이고 ip가 123.123.0.1이면 아래와 같습니다.

$ ssh JJuni@123.123.0.1

그리고 ip 확인은 ifconfig로 확인 가능합니다.

$ ifconfig

inet에 해당하는 것이 Ip주소입니다.

 

이후 우분투(원격지서버)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뜨는데 입력하면 접속이 완료됩니다.

 

추가로 ssh 비활성화는 아래 명령어로 할 수 있습니다.

$ sudo systemctl stop ssh

이 글은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는 가정하에 적용되는 글입니다. 네트워크가 다를 시 포트포워딩을 통해 설정해야 합니다.

링크 남깁니다. 이 분이 설명을 잘해주셨더라고요~

https://velog.io/@softmare/ssh-key-Authentication-3

 

이상 우분투 ssh에 대한 포스트였습니다. 감사합니다.

 

참고 사이트

https://www.websiterating.com/ko/web-hosting/glossary/what-is-ssh/

https://codechacha.com/ko/ubuntu-install-openssh/

https://velog.io/@softmare/ssh-key-Authentication-3
Comments